
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 금 통장 안내
1. 국민은행 금 통장 – KB골드투자통장
국민은행의 금 통장은 KB골드투자통장이라는 이름으로 제공됩니다. 이 통장은 국제 금 시세를 기반으로 금을 매매할 수 있는 계좌이며, 실물 인출도 가능합니다.
📌 특징
✔️ 최소 투자 단위: 0.01g (소액 투자 가능)
✔️ 거래 방법: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영업점 방문
✔️ 거래 시간: 영업일 기준 09:00~23:30
✔️ 실물 인출 가능: 골드바 형태(부가세 10% 부과)
✔️ 세금: 매매 차익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📌 장점 & 단점
✅ 장점:
- 최소 0.01g 단위로 투자 가능하여 소액 투자자에게 적합
-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간편한 거래 가능
- 실물 금 인출 가능
❌ 단점:
- 실물 인출 시 10%의 부가세 추가 부담
- 금 통장은 예금자 보호법 적용 대상이 아님
📌 개설 방법
- 국민은행 계좌 개설(기존 계좌 보유 시 생략 가능)
- KB골드투자통장 신청 (영업점 또는 인터넷뱅킹 이용 가능)
- 금 매매 시작 (0.01g 단위 거래 가능)
2. 신한은행 금 통장 – 신한골드리슈(Gold Riche) 통장
신한은행에서는 신한골드리슈 통장을 통해 금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. 이 통장은 금을 계좌에서 보유하고 있다가 원하는 시점에 매매할 수 있는 방식이며, 마찬가지로 실물 인출이 가능합니다.
📌 특징
✔️ 최소 투자 단위: 0.01g
✔️ 거래 방법: 신한은행 모바일앱(쏠뱅킹), 인터넷뱅킹, 영업점 방문
✔️ 거래 시간: 영업일 기준 09:00~23:30
✔️ 실물 인출 가능: 골드바 형태(부가세 10% 부과)
✔️ 세금: 매매 차익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📌 장점 & 단점
✅ 장점:
- 모바일 앱을 통한 거래가 편리
- 최소 0.01g 단위 투자 가능
- 신한은행 고객이라면 계좌 연결이 쉬움
❌ 단점:
-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% 부담
- 금 가격 변동으로 원금 손실 가능
📌 개설 방법
- 신한은행 계좌 개설(기존 계좌 보유 시 생략 가능)
- 신한골드리슈 통장 개설 (모바일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가능)
- 금 매매 시작
3. 우리은행 금 통장 – 우리골드투자통장
우리은행에서는 우리골드투자통장이라는 상품으로 금 통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이 통장 역시 소액 단위로 금을 매매할 수 있으며, 실물 인출도 가능합니다.
📌 특징
✔️ 최소 투자 단위: 0.01g
✔️ 거래 방법: 우리은행 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영업점 방문
✔️ 거래 시간: 영업일 기준 09:00~23:30
✔️ 실물 인출 가능: 골드바 형태(부가세 10% 부과)
✔️ 세금: 매매 차익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📌 장점 & 단점
✅ 장점:
- 모바일 및 인터넷뱅킹을 통한 거래 지원
- 최소 0.01g 단위 투자 가능
- 다른 우리은행 금융상품과 연계 가능
❌ 단점:
-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% 추가 부담
-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손실 가능성 존재
📌 개설 방법
- 우리은행 계좌 개설(기존 계좌 보유 시 생략 가능)
- 우리골드투자통장 개설 (인터넷뱅킹, 모바일뱅킹, 영업점에서 가능)
- 금 매매 시작
4. 국민은행 vs 신한은행 vs 우리은행 금 통장 비교
최소 거래 단위 | 0.01g | 0.01g | 0.01g |
거래 가능 시간 | 09:00~23:30 | 09:00~23:30 | 09:00~23:30 |
거래 방식 | 인터넷, 모바일, 영업점 | 인터넷, 모바일, 영업점 | 인터넷, 모바일, 영업점 |
실물 인출 | 가능 (부가세 10%) | 가능 (부가세 10%) | 가능 (부가세 10%) |
세금 | 매매 차익 15.4% 부과 | 매매 차익 15.4% 부과 | 매매 차익 15.4% 부과 |
특징 | 국민은행 고객이라면 편리 | 신한은행 쏠뱅킹에서 간편 거래 가능 | 우리은행 금융상품과 연계 가능 |
5. 나에게 맞는 금 통장은?
금 통장은 기본적으로 큰 차이가 없지만, 은행별 서비스와 편의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🔹 국민은행 고객이라면? → KB골드투자통장이 가장 적합
🔹 신한은행 모바일 앱(쏠뱅킹)을 자주 사용한다면? → 신한골드리슈 통장이 편리
🔹 우리은행과 기존 금융 거래가 많다면? → 우리골드투자통장이 유리
각 은행의 금 통장은 모두 금 시세에 따라 거래할 수 있으며, 실물 인출도 가능하지만 부가세 부담이 있습니다. 따라서 단기적인 매매보다는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.
금 통장은 인플레이션 헤지(가치 보존) 수단으로 유용한 투자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지금 바로 자신에게 맞는 금 통장을 개설하고, 안전한 자산 분산 투자 전략을 세워보세요! 💰✨